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비거주자의 상속세, 국내 재산만 세금 내야 할까?

상속과 증여, 상속세, 증여세 절세

by welikekorea 2025. 3. 7. 00:17

본문

비거주자의 상속세 과세 대상이 국내 재산으로 제한됨.
세무당국이 국내 상속재산을 초과하여 세금을 부과한 것은 위법함.
해외 거주자의 상속세 문제를 다룰 때, 국내 재산과 해외 재산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함.

국내 상속재산을 초과하여 세금을 부과한 것은 위법

1. 사건 개요

이번 사건은 해외에 거주하던 사람이 사망했을 때, 국내 재산에 대한 상속세는 어떻게 계산되는가에 대한 판례입니다. 망인은 비거주자로 미국에 살다가 사망했으며, 국내에 예금과 해외 부동산을 남겼습니다. 망인의 상속인(배우자 BBB와 자녀 원고)은 상속세 신고를 하지 않았고, 이후 세무당국이 국내 예금뿐만 아니라 망인이 생전에 증여한 국내 부동산 가치까지 상속세에 포함하여 부과했습니다. 이에 원고가 불복하면서 소송이 시작되었습니다.

 

2. 주요 쟁점

이 사건의 핵심적인 쟁점은 비거주자의 사망으로 발생한 상속에서, 국내 상속재산뿐만 아니라 생전 증여된 국내 부동산까지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는가? 입니다.

  • 원고(상속인)의 주장:
    • 망인은 해외 거주자로서 국내 재산에 대해서만 상속세를 내면 된다.
    • 그런데 세무당국이 망인이 생전에 증여한 국내 부동산까지 상속세 과세 대상에 포함시켜 과도한 세금을 부과했다.
    • 상속세 납부 의무가 있는 재산은 국내에 있는 재산만 해당해야 한다.
  • 세무당국(피고)의 주장:
    • 상속세 계산 시 망인이 사망 전 5~10년 내에 증여한 재산도 상속재산에 포함된다.
    • 망인이 한국에 보유했던 예금뿐만 아니라 생전에 증여한 국내 부동산도 과세 대상이다.
    • 따라서 기존에 부과한 상속세는 정당하다.

결국 대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여 세무당국이 과도하게 부과한 세금 중 일부가 위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3. 법원의 판단

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판결을 내렸습니다. 주요 판결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비거주자의 경우, 국내 재산만 상속세 과세 대상:
    • 한국 상속세법에 따르면 **거주자(한국에 사는 사람)**는 국내외 모든 재산에 대해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비거주자(해외 거주자)**는 국내 재산에 대해서만 상속세가 부과된다.
    • 망인은 비거주자로서 국내 예금만 상속세 대상이며, 해외 부동산은 과세 대상이 아니다.
  2. 사전 증여재산도 국내 재산만 포함해야 한다:
    • 세법에 따르면, 사망 전 일정 기간 동안 피상속인이 증여한 재산도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된다.
    • 하지만, 비거주자의 경우 국내 재산에 대해서만 상속세를 부과해야 하므로, 국내에서 증여한 재산만 포함될 수 있다.
    • 세무당국이 주장한 것처럼 해외 재산이나 해외에서 증여한 재산까지 포함하는 것은 법에 맞지 않는다.
  3. 상속인의 납세 의무는 국내 상속재산 가액을 초과할 수 없다:
    • 상속인이 상속받은 국내 재산이 1억 원이라면, 상속인은 그 금액을 초과하는 상속세를 낼 의무가 없다.
    • 따라서 세무당국이 국내 상속재산 이상의 세금을 부과한 것은 위법하다.

4. 의미와 시사점

이 판결은 비거주자의 국내 상속재산과 세금 부과 범위를 명확히 정리한 중요한 사례입니다.

  • 비거주자는 국내 재산에 대해서만 상속세를 납부해야 한다:
    • 해외 거주자의 경우, 해외 재산에 대해서는 한국에서 세금을 부과할 수 없다.
    • 국내에 있는 예금, 부동산 등에 대해서만 상속세가 부과된다.
  • 사전 증여재산도 국내 재산만 포함된다:
    • 망인이 생전에 해외에서 증여한 재산은 한국 상속세 과세 대상이 아니다.
    • 단, 국내에서 증여한 부동산이나 재산은 상속세 과세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 세무당국의 과세 범위 설정이 중요하다:
    • 이번 판결에서 세무당국이 국내 상속재산보다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한 것은 위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따라서 납세자는 세금이 부과될 때 과세 기준을 정확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5. 결론

이 사건에서 법원은 비거주자의 상속세 과세 대상이 국내 재산으로 제한된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세무당국이 국내 상속재산을 초과하여 세금을 부과한 것은 위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해외 거주자의 상속세 문제를 다룰 때, 국내 재산과 해외 재산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판결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