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법상 시가는 항상 변동 가능하며, 감정평가를 통해 이를 확인하는 것은 정당하다. 법률에서 납세의무자의 신고 금액과 실제 시가가 다를 경우, 이를 감정평가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주택과 달리, 비주거용 부동산은 유사한 매매 사례를 찾기 어려워 감정평가가 필요하다.
2021년 5월 31일, 원고(자녀)는 아버지로부터 주식회사 ○○의 주식 17,825주를 증여받았다. 원고는 이 주식을 신고하면서, 회사가 소유한 부동산을 장부가액 기준으로 평가하여 증여세를 신고·납부하였다. 그러나 과세당국(피고)은 감정평가를 실시한 결과, 원고가 신고한 금액보다 높은 시가를 산정하여 추가 증여세를 부과하였다. 이에 원고는 과세 처분이 부당하다며 소송을 제기하였다.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과세당국의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고, 과세당국의 증여세 부과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결하였다. 이 사건을 통해 비상장주식 및 비주거용 부동산과 관련된 증여세 평가 방식에 대한 법적 기준이 명확해졌으며, 향후 증여세 신고 시 감정평가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글은 [서울행정법원-2023-구합-78408] 사건을 참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상속 문제는 개인마다 상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법적 조언이 필요할 경우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세당국이 잘못된 기준으로 종합소득세 부과? 공동사업 발생 소득의 성격과 과세 방식 알아두세요~ (0) | 2025.03.04 |
---|---|
상속 아파트 공시가격으로 상속세 신고, 옆 동 실거래가(매매가)로 과세? (0) | 2025.03.04 |
유언없이 돌아가신 부모님, 간병했던 형이 더 많이 상속받는 게 맞나요? (0) | 2025.03.04 |
상속 순위와 상속인의 권리, 유언과 유류분, 공동상속과 상속재산 분할, 부양의무와 기여분 (0) | 2025.03.04 |
상속포기자도 상속세 납세의무가 있을까? (상속세 부과 처분의 적법성에 관한 실제 사건 정리)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