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개요
원고(선정당사자)는 피고(국세청)로부터 증여세 부과 처분을 받았으며, 이에 대해 일부 취소를 청구한 사건이다. 주요 쟁점은 원고가 증여세 납부 의무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과세가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증여 재산 반환이 가능한지 여부이다.
사건의 경위
- 증여 및 과세 처분
- 원고는 2021년 7월 13일 어머니 김AA로부터 이 사건 토지(○○시 □□동 ##-11 대 210.6㎡ 중 1/2 지분)를 증여받음.
- 원고가 증여세를 신고·납부하지 않자, 피고(국세청)는 2022년 10월 4일 증여세 및 가산세 합계 11,163,890원을 부과.
- 조세 심판 및 소송 진행
- 원고는 과세 처분에 대해 과세전적부심사청구, 이의신청 및 조세심판청구를 거쳤으나 모두 기각됨.
- 이에 원고는 증여세 부과 취소 및 증여물 반환 허락을 청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
관련 법령
-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증세법) 제4조, 제68조, 제76조, 제77조
- 증여세 신고·납부 의무 및 과세 절차 규정.
- 신고 기한 내 반환된 증여재산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나, 기한이 지난 후에는 적용되지 않음.
- 행정소송법 및 대법원 판례
- 행정소송에서 특정 행정처분(증여물 반환 허락)을 명하는 판결은 허용되지 않음.
원고의 주장
- 증여세 신고 안내 부족
- 피고가 증여세 신고 및 납부 의무에 대한 안내를 충분히 하지 않아 원고가 신고 기한을 놓쳤음.
- 따라서 뒤늦게 부과된 증여세 처분은 부당하며, 취소되어야 함.
- 증여물 반환 허락 요청
- 세법상 일정 기간 내 증여재산을 반환하면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으므로, 원고가 반환할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주장.
법원의 판단
- 증여세 부과의 적법성
- 상증세법은 신고납부 방식을 취하며, 납세 의무 발생 사실 자체에 대한 사전 고지 의무를 규정하지 않음.
- 국세청이 증여세 안내 문자를 보냈으나, 이는 법적 의무가 아니라 행정 서비스일 뿐.
- 따라서 원고가 신고 기한을 놓쳤더라도 과세 처분이 위법하다고 볼 수 없음.
- 가산세 부과의 적법성
- 세법상 가산세는 신고 의무 위반에 대한 행정적 제재로, 고의·과실 여부와 무관하게 부과됨.
- 법령의 부지(모름)나 착오는 정당한 사유가 될 수 없으며, 따라서 가산세 부과도 적법.
- 증여물 반환 허락 청구의 부적법성
- 상증세법에 따라 증여세 신고 기한 이후 3개월이 지난 증여재산은 반환하더라도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지 않음.
- 행정소송법상 법원이 특정 행정처분(증여물 반환 허락)을 명할 수 없으므로, 원고의 청구는 부적법.
결론
법원은 원고의 증여세 부과 취소 청구를 기각하고, 증여물 반환 허락 청구는 부적법하므로 각하하였다. 소송 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판결하였다. 이 판례는 증여세 신고·납부 의무의 중요성과 행정소송에서 허용되는 청구 범위를 명확히 한 사례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