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 신고 시에는 상속 개시일 전후 6개월 이내의 매매사례를 확인하고, 동일한 공동주택 단지 내에서 기준시가가 유사한 경우에는 해당 매매가액을 적용할 수 있다.
원고들은 2020년 1월 4일 사망한 망인(피상속인)의 자녀들로, 망인이 소유하고 있던 서울 소재 아파트(이하 '이 사건 아파트')를 상속받았습니다.
202X년 X월 31일, 원고들은 이 사건 아파트의 가액을 평가하여 상속세를 신고하고 납부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국세청의 감사 과정에서 같은 아파트 단지 내의 유사한 아파트(이하 '비교대상 아파트')가 원고들이 신고한 가액보다 높은 금액으로 매매된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과세당국은 이 사건 아파트의 가액을 비교대상 아파트의 매매가액을 기준으로 재평가하여 상속세를 추가로 부과하였습니다. 이에 원고들은 부과처분이 부당하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과세당국이 비교대상 아파트의 매매가액을 기준으로 이 사건 아파트의 시가를 평가하고 상속세를 부과한 것은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1) 상속세법상 시가의 평가 기준
2) 비교대상 아파트의 매매가액 적용 가능성
3) 원고들의 국세청 홈페이지 조회 주장 반박
법원은 원고들의 주장을 모두 기각하고, 과세당국이 비교대상 아파트의 매매가액을 기준으로 이 사건 아파트의 가치를 평가한 것이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이 판례는 상속세 신고 시 부동산의 시가 평가 방법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상속세 신고 시에는 상속 개시일 전후 6개월 이내의 매매사례를 확인하고, 동일한 공동주택 단지 내에서 기준시가가 유사한 경우에는 해당 매매가액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 판결입니다.
따라서, 상속세 신고를 준비하는 납세자들은 국세청의 부동산 거래정보를 면밀히 검토하고, 평가기준일 전후 6개월 이내의 매매사례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파트 증여세 처분 취소 소송 결과는? (ft. 증여세 부과 시 유사 매매사례의 적용 기준) (0) | 2025.03.13 |
---|---|
상속세 결정을 위한 부동산 평가 기준은? 양도소득세 취소 소송 (0) | 2025.03.13 |
상속받은 부동산의 취득가액을 높여 양도세 절세 가능한가? (0) | 2025.03.12 |
양도소득세 신고 시 상속세 취득가액으로 반영, 하지만 국세청은 이를 인정하지 않는데..... (0) | 2025.03.11 |
주식 싸게 사면 증여세 폭탄? 계약 해제해도 세금 내야 하는 이유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