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파트 증여세 처분 취소 소송 결과는? (ft. 증여세 부과 시 유사 매매사례의 적용 기준)

상속과 증여, 상속세, 증여세 절세

by welikekorea 2025. 3. 13. 18:47

본문

1. 사건 개요

이번 사건은 원고(소송을 제기한 사람)가 세무서에서 부과한 증여세 처분이 부당하다며 취소를 요청한 사례입니다. 하지만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세무서의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2. 사건의 경위

(1) 증여 및 세금 신고

  • 원고는 2022년 1월 26일, 서울 소재의 아파트(이 사건 부동산) 를 증여받았습니다.
  • 2022년 x월 28일, 공동주택공시가격(기준시가) 0억 0,000만 원을 기준으로 증여세를 신고하고 납부했습니다.

(2) 세무서의 추가 과세

  • 세무서는 같은 아파트 단지 내 유사한 조건(면적·공동주택가격 동일)의 다른 아파트(이 사건 매매사례 부동산)2021년 6월 22일 x억 원에 매매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 이에 따라 세무서는 해당 매매가액(x억 원)을 이 사건 부동산의 시가로 인정하고, 2023년 x월 9일 원고에게 증여세 xx,x00,000원을 추가로 부과했습니다.
  • 원고는 이에 불복하여 조세심판원에 심판을 청구했으나, 2023년 x월 21일 기각되었습니다.
  •  

증여 아파트 세무서 추가 과세

3. 원고의 주장

원고는 세무서가 잘못된 방법으로 증여세를 산정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부동산 가격 급등
    • 2020~2022년 사이 **공동주택공시가격이 급증(45% → 14%)**했기 때문에, 평가기준일(2022. 1. 26.)과 매매사례 부동산의 계약일(2021. 6. 22.) 사이에 가격변동의 특별한 사정이 있었다고 보아야 합니다.
    • 따라서 세무서가 해당 매매가액을 이 사건 부동산의 시가로 인정한 것은 부당합니다.
  2. 유사성 부족
    • 이 사건 부동산과 매매사례 부동산은 층수, 인테리어 상태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따라서, 원고는 더 유사한 2021년 6월 24일 매매된 같은 아파트 1404동 108호(x억 x,x00만 원) 의 가격을 시가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3. 법률 위반 주장
    • 세무서가 증여세를 계산하면서 적용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규칙(상증세법 시행규칙) 제15조는 조세법률주의 및 법률우위원칙에 위배되므로 적용해서는 안 됩니다.

4. 법원의 판단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세무서의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관련 법령

  •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0조에 따르면, 증여세는 증여일 현재 시가(실제 거래되는 가격)를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 하지만 시가를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 보충적 평가방법(공시가격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022년 2월 개정된 시행령에 따라, 평가기준일 전 2년 이내에 거래된 유사 부동산의 매매가액도 시가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2) 사건 적용

  • 이 사건 부동산과 매매사례 부동산은 같은 단지, 같은 면적, 동일한 공동주택가격을 가지고 있어 유사성이 인정됩니다.
  • 원고가 제시한 다른 매매사례(1404동 108호)는 공동주택가격 차이가 더 크기 때문에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 상증세법 시행규칙 제15조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으며, 조세법률주의에 위반되지 않습니다.

5. 결론

법원은 세무서의 증여세 부과 처분이 적법하다고 판단하며,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따라서 원고는 추가로 부과된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6. 주요 시사점

이번 판례는 증여세 부과 시 유사 매매사례의 적용 기준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 부동산 증여 시, 최근 매매사례가 있으면 해당 가격이 시가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공시가격이 급등했다고 하더라도, 실제 매매가 상승률이 크지 않다면 가격 변동의 특별한 사정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증여세 계산 시 유사 부동산의 매매사례를 충분히 검토하고, 사전에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글 더보기